엑셀 필수 함수: INDEX 함수 (사용 예제 포함)

 

엑셀 필수 함수: INDEX 함수  (사용 예제 포함)

엑셀/구글 시트 필수 함수: INDEX 함수 완벽 가이드 (사용 예제 포함)

오늘은 방대한 데이터 속에서 원하는 값을 정확하게 찾아주는 만능 함수, INDEX 함수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INDEX 함수를 마스터하면 데이터 처리 속도를 혁신적으로 높일 수 있습니다.

INDEX 함수란 무엇인가요?

INDEX 함수는 지정된 범위배열에서 사용자가 지정한 행 번호열 번호가 교차하는 위치에 있는 반환하는 함수입니다.

간단히 말해, "이 데이터 표에서 몇 번째 행, 몇 번째 열에 있는 값이 뭐야?"라고 물어보는 것과 같습니다.

INDEX 함수의 구문 (Syntax)

INDEX 함수는 크게 두 가지 형식으로 사용되지만, 가장 일반적이고 자주 사용되는 배열 형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INDEX(배열_번호, [_번호], [영역_번호])
인수 (Argument)설명필수/선택
배열 (array)데이터를 검색할 범위 (셀들의 집합)를 지정합니다.필수
행_번호 (row_num)배열 내에서 값을 찾을 행의 상대적인 위치를 숫자로 지정합니다.필수
열_번호 (column_num)배열 내에서 값을 찾을 열의 상대적인 위치를 숫자로 지정합니다. (단일 열/행 배열에서는 생략 가능)선택
영역_번호 (area_num)여러 개의 배열이 지정되었을 때 사용할 영역을 지정합니다. (일반적인 사용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음)선택

중요: 행_번호열_번호전체 워크시트의 행/열 번호가 아닌, INDEX 함수에 입력한 배열(범위) 내에서의 상대적인 위치를 의미합니다.


INDEX 함수 사용 예제

실제 데이터를 가지고 INDEX 함수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예제 1: 기본적인 값 찾기 (행과 열 모두 지정)

다음과 같은 '판매 실적' 데이터 표가 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이 표는 셀 A1:C5 범위에 있습니다.

ABC
1품목담당자판매량
2노트북김철수120
3모니터이영희85
4키보드박민수150
5마우스김철수90

Q. 품목 '모니터'의 판매량을 찾아보세요.

  1. '모니터'는 배열(A2:C5)의 2번째 행에 있습니다.

  2. '판매량'은 배열(A2:C5)의 3번째 열에 있습니다.

=INDEX(A2:C5, 2, 3)
결과
85

설명: 배열 A2:C5 내에서 2행3열이 만나는 셀인 C3의 값인 85를 반환합니다.

예제 2: 특정 행 전체 또는 열 전체 반환

만약 특정 행이나 열의 전체 값이 필요하다면, 행_번호열_번호0으로 설정하거나 생략할 수 있습니다.

Q. '김철수' 담당자의 모든 품목과 판매량을 찾아보세요. (A2:C5 배열에서 1열 전체)

=INDEX(A2:A5, 4)
결과
마우스

설명: A2:A5 배열(단일 열)에서 4번째 행의 값인 마우스를 반환합니다. 단일 열 또는 단일 행일 때는 나머지 번호를 생략해도 자동으로 작동합니다.


INDEX 함수의 꽃: MATCH 함수와의 결합 (INDEX-MATCH)

INDEX 함수가 강력한 이유는 바로 MATCH 함수와 함께 사용될 때 극대화됩니다. 이는 VLOOKUP 함수의 단점(항상 첫 번째 열에서만 검색 가능, 왼쪽으로 검색 불가)을 완벽하게 보완해 주는 조합입니다.

MATCH 함수는 특정 값이 배열 내에서 몇 번째 위치에 있는지 **상대적인 위치(번호)**를 찾아줍니다.

=MATCH(찾을_찾을_범위일치_옵션)

이 두 함수를 결합하면 다음과 같이 동적으로 값을 찾을 수 있습니다.

=INDEX(__가져올_범위, MATCH(찾을____찾을_범위, 0), MATCH(찾을____찾을_범위, 0))

예제 3: INDEX-MATCH 활용 (동적인 값 찾기)

앞선 '판매 실적' 표를 다시 사용합니다.

ABC
품목담당자판매량
노트북김철수120
모니터이영희85
키보드박민수150
마우스김철수90

Q. 품목 '키보드'의 '담당자'가 누구인지 찾아보세요.

입력 셀내용
E2키보드 (찾을 행 값)
F2담당자 (찾을 열 값)
=INDEX(A2:C5, MATCH(E2, A2:A5, 0), MATCH(F2, A1:C1, 0))
결과
박민수

설명:

  1. MATCH(E2, A2:A5, 0): '키보드'(E2)가 품목 열(A2:A5)에서 3번째에 있다는 것을 찾습니다.

  2. MATCH(F2, A1:C1, 0): '담당자'(F2)가 헤더 행(A1:C1)에서 2번째에 있다는 것을 찾습니다.

  3. 결국 INDEX(A2:C5, 3, 2)가 되어 배열 내 3행 2열의 값인 박민수를 반환합니다.


 INDEX 함수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 

  • VLOOKUP 한계 극복: 왼쪽 열에서만 검색 가능한 VLOOKUP과 달리, INDEX-MATCH는 양방향 검색이 가능합니다. (VLOOKUP 대체)

  • 성능 최적화: 대규모 데이터 처리 시 VLOOKUP보다 계산 속도가 빠릅니다. (데이터 분석 속도 향상)

  • 유연성: 배열의 특정 값뿐만 아니라 전체 행/열을 반환할 수 있어 동적인 범위 설정에 유리합니다. (엑셀 고급 활용)

INDEX 함수는 단순한 값 찾기를 넘어, 데이터 참조의 유연성을 제공하는 핵심 도구입니다. 오늘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업무 효율을 높여보세요! 궁금한 점은 댓글로 남겨주시면 답변해 드리겠습니다.


#INDEX함수 #엑셀함수 #구글시트 #데이터분석 #INDEXMATCH #VLOOKUP대체 #업무자동화

댓글 쓰기

0 댓글

이 블로그 검색

태그

이미지alt태그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