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를 특정 기준에 따라 정렬(Sort)한 후, 그 결과에서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자료를 가져오는 데 사용할 수 있는 핵심 함수 조합은 상황에 따라 다음과 같습니다.
1. 정렬된 데이터 전체를 가져오고 싶을 때 (새로운 배열로 반환)
데이터 원본을 그대로 두고, 정렬된 결과를 새로운 위치에 배열로 반환받고 싶을 때 사용합니다.
활용 예시 (구글 시트/엑셀 2021 이상)
SORT 함수:
A1:C10범위를 C열(3번째 열)을 기준으로 내림차순 정렬하여 반환=SORT(A1:C10, 3, FALSE)(또는-1을 사용)
2. 정렬된 데이터에서 상위/하위 N개만 가져오고 싶을 때
전체 정렬된 결과 중 가장 크거나(상위) 가장 작은(하위) 값을 원하는 개수(N개)만큼 추출하고 싶을 때 사용합니다.
활용 예시 (구글 시트/엑셀 2021 이상)
SORT + TAKE 조합: 데이터
A1:C10을 C열 기준으로 내림차순 정렬 후, 상위 3개만 가져오기=TAKE(SORT(A1:C10, 3, FALSE), 3)
3. 조건에 맞는 데이터를 정렬 후 가져오고 싶을 때
특정 조건을 필터링(Filter)하여 추출한 데이터를 정렬까지 하여 반환받고 싶을 때 사용합니다.
활용 예시
FILTER + SORT 조합 (엑셀/구글 시트): A열이 '서울'인 데이터만 필터링 후, C열을 기준으로 오름차순 정렬
=SORT(FILTER(A1:C10, A1:A10="서울"), 3, TRUE)
QUERY 함수 (구글 시트): A열이 '서울'인 데이터를 C열 기준으로 내림차순 정렬 후, 모든 열을 가져오기
=QUERY(A1:C10, "SELECT * WHERE A = '서울' ORDER BY C DESC")
4. 정렬된 표에서 특정 값과 일치하는 자료를 가져오고 싶을 때 (단일 값)
주로 특정 키 값을 기준으로 관련 정보를 찾을 때 사용하며, 정확한 일치(검색)가 주 목적입니다.
핵심 정리: 어떤 함수를 쓸까?
가장 쉽고 유연한 통합 방법 (구글 시트):
QUERY함수. 정렬, 필터, 추출을 한 번에 처리 가능.가장 쉽고 유연한 통합 방법 (엑셀 2021 이상):
SORT,FILTER,TAKE등의 동적 배열 함수들을 조합.특정 값 검색 (엑셀 2021 이상/구글 시트):
XLOOKUP특정 값 검색 (모든 버전 호환):
INDEX+MATCH조합.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