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셀 날짜/시간 완전 정복! 셀 서식과 함수 활용법
엑셀은 단순한 계산을 넘어, 날짜와 시간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분석하는 데에도 매우 유용한 도구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엑셀에서 날짜와 시간을 원하는 대로 표현하는 셀 서식과, 이를 활용하여 다양한 계산을 수행하는 함수들을 알기 쉽게 정리해 드릴게요. 이 글만 읽으면 엑셀 날짜/시간에 대한 고민이 말끔히 해결될 겁니다!
1. 날짜/시간을 다루는 기본 개념: 엑셀의 '일련번호'
엑셀은 날짜와 시간을 우리 눈에 보이는 '2025-08-20'이나 '14:30' 같은 문자가 아닌, 숫자로 인식합니다. 이것을 일련번호(Serial Number)라고 해요.
날짜: 1900년 1월 1일을 '1'로 시작하여 하루가 지날 때마다 1씩 증가하는 정수입니다. 예를 들어, 2025년 8월 20일은 1900년 1월 1일로부터 45,861일이 지난 날짜이므로, 엑셀에서는 '45861'이라는 숫자로 저장됩니다.
시간: 하루(24시간)를 '1'로 보고, 그 시간을 소수점으로 표현합니다. 예를 들어, 오후 6시(18시간)는 하루의 18/24이므로 '0.75'로 표현됩니다.
이처럼 엑셀이 날짜/시간을 숫자로 인식하기 때문에, 우리는 더하기(+)나 빼기(-)와 같은 사칙연산은 물론, 다양한 함수를 활용해 쉽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2. 셀 서식으로 날짜/시간을 원하는 대로 꾸미기
숫자로 저장된 날짜와 시간을 우리가 보기 좋게 바꾸는 것이 바로 셀 서식입니다. Ctrl + 1을 눌러 '셀 서식' 대화상자를 열고 '표시 형식' 탭에서 '사용자 지정'을 선택하면 다양한 조합으로 서식을 만들 수 있습니다.
활용 예시
yyyy년 mm월 dd일→ 2025년 08월 20일yyyy. m. d (aaaa)→ 2025. 8. 20 (수요일)yy/mm/dd→ 25/08/20hh:mm→ 14:30[h]:mm→ 경과 시간을 표시할 때 사용 (예: 25시간 30분)
3. 날짜/시간 계산을 위한 필수 함수 5가지
이제 본격적으로 날짜와 시간을 계산하는 함수들을 알아볼게요.
1) TODAY()와 NOW(): 현재 날짜/시간 가져오기
=TODAY(): 오늘 날짜를 표시합니다. (예: 2025-08-20)=NOW(): 현재 날짜와 시간을 동시에 표시합니다. (예: 2025-08-20 14:30)
두 함수는 휘발성 함수로, 파일을 열거나 수정될 때마다 자동으로 업데이트됩니다.
2) DATEDIF(): 두 날짜 사이의 기간 구하기
두 날짜 사이의 경과 기간(연, 월, 일)을 구하는 함수입니다.
=DATEDIF(시작일, 종료일, "단위")
활용 예시: 입사일과 퇴사일 사이의 근속 기간 계산, 나이 계산 등
3) YEAR(), MONTH(), DAY(): 날짜에서 연/월/일 추출하기
특정 날짜에서 연, 월, 일만 따로 추출할 때 사용합니다.
=YEAR(날짜)=MONTH(날짜)=DAY(날짜)
활용 예시: 생년월일 데이터에서 생년만 추출하여 나이 그룹별로 분류할 때 유용합니다.
4) WEEKDAY(): 날짜의 요일 구하기
날짜에 해당하는 요일을 숫자로 반환합니다.
=WEEKDAY(날짜, [반환 형식])
[반환 형식]에 따라 일요일이 1, 월요일이 2... 로 지정되거나, 월요일이 1, 화요일이 2... 로 지정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생략하면 일요일(1)부터 토요일(7)까지 반환됩니다.
활용 예시: 특정 요일에만 발생하는 이벤트 횟수를 세거나, 요일별 매출을 분석할 때 활용됩니다.
5) EOMONTH(): 특정 날짜의 월말일 구하기
주어진 날짜를 기준으로 N개월 이후 또는 이전의 월말 날짜를 반환합니다.
=EOMONTH(시작일, 개월 수)
개월 수에 0을 입력하면 현재 월의 마지막 날짜를, 1을 입력하면 다음 달의 마지막 날짜를 구합니다.
활용 예시: 청구서 발행일이나 납부 기한 등을 계산할 때 매우 유용합니다.
이 외에도 WORKDAY(), NETWORKDAYS(), DATE(), TIME() 등 다양한 날짜/시간 함수들이 있습니다.
이 함수들은 다음 기회에 더 자세히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