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셀 INDEX, MATCH 찾기 함수 사용법, VLOOKUP 의 한계 극복

엑셀 INDEX, MATCH 찾기 함수 사용법

엑셀 INDEX, MATCH 함수 완벽 활용법: VLOOKUP의 한계를 넘어서는 꿀팁! 

많은 분들이 엑셀에서 데이터를 찾을 때 VLOOKUP 함수를 사용하시죠? 하지만 VLOOKUP은 몇 가지 한계가 있습니다. 바로 왼쪽 방향으로는 데이터를 찾을 수 없고, 참조 열의 위치가 바뀌면 수식을 수정해야 한다는 점인데요. 오늘 소개해 드릴 INDEX 함수와 MATCH 함수의 조합은 이러한 VLOOKUP의 한계를 완벽하게 극복하는 강력한 함수 조합입니다.

INDEX 함수란?

INDEX 함수는 특정 범위에서 행과 열의 번호를 입력하면 해당 위치에 있는 값을 반환하는 함수입니다.

  • 구조: =INDEX(범위, 행_번호, [열_번호])

예를 들어, =INDEX(A1:C5, 2, 3)은 범위 A1부터 C5까지에서 2행 3열에 있는 값을 찾아줍니다.

MATCH 함수란?

MATCH 함수는 특정 값에 해당하는 **위치(행 또는 열 번호)**를 찾아주는 함수입니다.

  • 구조: =MATCH(찾을_값, 찾을_범위, [일치_옵션])

일치_옵션은 보통 정확히 일치하는 값을 찾기 위해 0을 사용합니다. 1은 찾을 값보다 작거나 같은 값 중 최대값, -1은 찾을 값보다 크거나 같은 값 중 최소값을 찾습니다.

INDEX와 MATCH의 환상적인 조합!

이제 이 두 함수를 합쳐서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MATCH 함수가 찾고자 하는 값의 위치(행 번호)를 찾아주면, INDEX 함수가 그 행 번호에 해당하는 값을 가져오는 방식입니다.

예시 시나리오: '제품명'을 기준으로 '판매량'을 찾고 싶을 때

  1. INDEX 함수: INDEX(찾을_범위) → '판매량'이 있는 열을 선택합니다. (D2:D10)

  2. MATCH 함수: MATCH(찾을_값, 찾을_범위, 0) → 찾고자 하는 '제품명'(예: '제품 C')이 '제품명' 열 (B2:B10)에서 몇 번째 행에 있는지 찾아줍니다.

  3. 조합된 수식: =INDEX(D2:D10, MATCH("제품 C", B2:B10, 0))

이 수식은 먼저 MATCH 함수가 "제품 C"가 B2:B10 범위에서 4번째 행에 있다는 것을 알려줍니다. 그러면 INDEX 함수는 D2:D10 범위에서 4번째 행에 있는 값(예: 70)을 가져와 최종적으로 70이라는 값을 반환합니다.

INDEX, MATCH 조합의 장점

  • 방향에 구애받지 않는 유연성: VLOOKUP과 달리 오른쪽, 왼쪽 모두에서 데이터 검색이 가능합니다.

  • 수정 없이 열 삽입/삭제 가능: 참조하는 열이 바뀌더라도 MATCH 함수가 알아서 위치를 찾아주기 때문에 수식을 수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 더 빠른 처리 속도: 대용량 데이터에서 VLOOKUP보다 처리 속도가 더 빠르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INDEX, MATCH 함수 사용 시 꿀팁

  • 범위는 한 열씩 지정하기: INDEX 함수에 사용할 범위와 MATCH 함수에 사용할 범위를 각각 한 열씩 지정하는 것이 오류를 줄이는 좋은 방법입니다.

  • 절대 참조($) 활용: 드래그해서 수식을 복사할 때 범위가 바뀌지 않도록 F4 키를 눌러 절대 참조로 만들어주세요.

VLOOKUP이 익숙하더라도 INDEX, MATCH 조합은 엑셀 활용 능력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해 줄 수 있는 필수 함수입니다. 오늘부터 INDEX, MATCH 조합을 연습하여 엑셀 마스터에 도전해 보세요! 

댓글 쓰기

0 댓글

이 블로그 검색

태그

이미지alt태그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