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셀/구글 스프레드시트의 필수 논리 함수: NOT 함수 완벽 이해하기 (사용법, 예제)

 

NOT 함수

엑셀/구글 스프레드시트의 필수 논리 함수: NOT 함수 완벽 이해하기 (사용법, 예제)

NOT 함수는 엑셀(Excel)과 구글 스프레드시트(Google Sheets)에서 조건의 논리값(참/거짓)을 뒤집을 때 사용하는 매우 간단하면서도 강력한 논리 함수입니다. 복잡한 조건을 설정할 때 필수적으로 활용되니, 이번 기회에 사용법과 다양한 예제를 통해 완벽하게 마스터해 보세요!



1. NOT 함수란 무엇인가요?

NOT 함수는 영어 단어 'Not'의 의미 그대로, 주어진 단일 조건의 논리값정반대로 뒤집어 주는 함수입니다.

입력 논리값 (Condition)NOT 함수의 결과 (Result)
TRUE (참)FALSE (거짓)
FALSE (거짓)TRUE (참)

쉽게 말해, 어떤 조건이 '참'이면 '거짓'으로, '거짓'이면 '참'으로 바꿔주는 역할을 합니다.

NOT 함수의 기본 구문

NOT 함수의 구문은 매우 간단합니다.

=NOT(논리값)
  • 논리값 (Logical): 참 또는 거짓으로 평가될 수 있는 값이나 표현식(조건)이 들어가는 자리입니다. 주로 비교 연산자(>, <, =, <>, , )를 포함한 조건식이 사용됩니다.


2. NOT 함수 사용 방법 및 기본 예제

NOT 함수는 단독으로 사용되기보다는 주로 IF 함수AND/OR 함수와 결합하여 특정 조건이 아닐 때를 검사하는 데 활용됩니다.

예제 1: 단순 논리값 반전

셀 A1에 논리값이 있다고 가정합니다.

A열 (입력 논리값)B열 (결과: =NOT(A1))설명
TRUEFALSETRUE의 반대인 FALSE를 반환합니다.
FALSETRUEFALSE의 반대인 TRUE를 반환합니다.

예제 2: 특정 조건이 아닐 때 (숫자 비교)

A2 셀의 값이 100이 아닐 때 '통과'를 표시하고 싶습니다.

조건 (A2)원하는 조건NOT 함수 사용결과
100100이 아닐 때=NOT(A2=100)FALSE
50100이 아닐 때=NOT(A2=100)TRUE
  • 해설:

    • A2가 100일 때: A2=100TRUE =NOT(TRUE)FALSE

    • A2가 50일 때: A2=100FALSE =NOT(FALSE)TRUE

예제 3: IF 함수와 결합하여 활용하기 (가장 일반적인 형태)

A3 셀의 점수가 90점 이상이 아닐 때 '재시험'을 표시하고, 90점 이상일 때 '합격'을 표시하고 싶습니다.

=IF(NOT(A3>=90), "재시험", "합격")
A3 (점수)NOT 함수 논리식 (NOT(A3>=90))IF 함수의 결과
95NOT(TRUE) FALSE합격
85NOT(FALSE) TRUE재시험
  • Tip: 위의 수식은 A3 < 90을 사용하여 =IF(A3<90, "재시험", "합격")으로 더 간결하게 표현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복잡한 조건을 반전시켜야 할 때 NOT 함수는 유용하게 활용됩니다.


3. NOT 함수의 실제 활용 예제 (데이터 처리)

데이터 목록에서 특정 조건에 해당하지 않는 항목을 필터링하거나 강조할 때 NOT 함수는 매우 유용합니다.

예제 4: 특정 단어가 포함되지 않은 항목 찾기 (ISNUMBER + SEARCH/FIND + NOT)

B열의 제품명 목록에서 '한정판'이라는 단어가 포함되지 않은 제품만 TRUE로 반환하고 싶습니다. SEARCH 함수는 찾는 단어가 없으면 오류(#VALUE!)를 반환하므로, ISNUMBER 함수와 결합하여 오류 여부를 검사한 후 NOT으로 결과를 뒤집어 줍니다.

B열 (제품명)SEARCH("한정판", B열)ISNUMBER(SEARCH(...))NOT(ISNUMBER(...)) 결과
한정판_마우스숫자 (위치값)TRUEFALSE
일반_키보드#VALUE! (오류)FALSETRUE
=NOT(ISNUMBER(SEARCH("한정판", B열)))
  • 해설:

    1. SEARCH("한정판", B열): '한정판'이 있으면 숫자를, 없으면 오류를 반환.

    2. ISNUMBER(...): 숫자인지 검사합니다. '한정판'이 있으면 TRUE를, 없으면 FALSE를 반환.

    3. NOT(...): 결과를 뒤집습니다. '한정판'이 없을 때 TRUE를 반환하게 됩니다.

예제 5: 빈 셀이 아닐 때 값 가져오기

C열에 값이 있을 때만 D열의 값을 가져오고, C열이 비어 있으면 공백을 표시하고 싶습니다. (ISBLANK 함수와 NOT 함수 조합)

=IF(NOT(ISBLANK(C2)), D2, "")
  • ISBLANK(C2): C2 셀이 비어있으면 TRUE, 아니면 FALSE를 반환.

  • NOT(ISBLANK(C2)): C2 셀이 비어있지 않을 때 TRUE를 반환. (즉, 값이 있을 때!)

  • 값이 있을 때(TRUE) D2 값을 표시하고, 값이 없을 때(FALSE) 공백("")을 표시합니다.


마무리 정리 

NOT 함수는 복잡한 조건식에서 '이것이 아닐 때'라는 명제를 간결하게 표현할 수 있게 해주는 논리 함수의 '조커'입니다. 특히 ANDOR 함수를 NOT으로 감싸서 여러 조건에 대한 부정(예: 'A가 아니고 B도 아닐 때' NOT(OR(A조건, B조건)))을 표현할 때 그 진가를 발휘합니다.


이제 여러분도 NOT 함수를 활용하여 데이터 분석 능력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해 보세요! 

댓글 쓰기

0 댓글

이 블로그 검색

태그

이미지alt태그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