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cel 실무 필수 함수: FREQUENCY 함수 완벽 가이드 (사용법, 예제, 꿀조합)
핵심 요약: FREQUENCY 함수란 무엇인가요?
FREQUENCY (빈도) 함수는 엑셀에서 데이터 범위 내의 값들이 특정 구간(간격)에 얼마나 많이 속하는지 그 빈도수를 배열로 계산해주는 통계 함수입니다. 주로 도수분포표를 작성하거나, 데이터의 분포를 파악할 때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이 함수는 결과를 하나의 셀이 아닌 여러 개의 셀에 동시에 반환하는 배열 수식이기 때문에, 입력 방식이 일반 함수와 조금 다르다는 점을 주의해야 합니다.
FREQUENCY 함수 기본 구문
=FREQUENCY(data_array, bins_array)
간격(bins)의 이해: bins_array에 ${10, 20, 30}$이 있다면, 엑셀은 다음과 같이 4개의 구간으로 데이터를 분류합니다.
(10 이하)
이고 (10 초과, 20 이하)
이고 (20 초과, 30 이하)
(30 초과)
실무 예제: 학생 점수 도수분포표 작성하기
가장 흔하고 유용한 실무 예제는 바로 도수분포표를 만드는 것입니다.
1. 데이터 준비
2. 간격(bins) 설정 및 범위 지정
점수를 10점 단위로 나누어 빈도를 알고 싶다고 가정합니다.
결과가 나올 셀 범위를 bins_array의 셀 개수 + 1만큼 지정합니다. (위 예시에서는 6개 셀)
3. 배열 수식 입력 (매우 중요!)
빈도수가 나타날 전체 범위 (예: F2:F7)를 모두 드래그하여 선택합니다.
선택된 첫 번째 셀(F2)에 다음 수식을 입력합니다.
=FREQUENCY(C2:C100, E2:E6) 'C2:C100은 점수 데이터 범위, E2:E6은 간격 범위키를 동시에 눌러 수식 입력을 마무리합니다.
결과: 지정된 전체 범위에 각 구간별 빈도수가 한 번에 표시됩니다. 수식 입력 후 수식 입력줄을 보면 수식이 와 같이 중괄호로 묶여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FREQUENCY 함수와 함께 쓰는 꿀조합 함수
FREQUENCY 함수는 단독으로도 강력하지만, 다른 함수와 조합하면 데이터 분석의 효율성이 극대화됩니다.
1. FREQUENCY + IF (조건부 빈도 계산)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데이터에 대해서만 빈도를 계산하고 싶을 때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남자' 학생의 점수 빈도만 구하고 싶다면, data_array에 IF 함수를 중첩하여 조건을 만족하는 값만 추출합니다.
=FREQUENCY(IF(성별범위="남자", 점수범위), bins_array)
주의: 이 역시 배열 수식이므로 $\text{Ctrl} + \text{Shift} + \text{Enter}$로 입력해야 합니다.
2. FREQUENCY + INDEX + MATCH (최빈값, 최빈 구간 찾기)
FREQUENCY 함수로 구한 빈도 배열에서 가장 큰 값(최빈값)이 몇 번째 위치에 있는지 찾고, 그 위치에 해당하는 간격(구간)의 상한선을 추출할 때 사용합니다.
MAX(FREQUENCY(...)): 가장 큰 빈도수(최대 빈도)를 찾습니다.MATCH(최대 빈도, FREQUENCY(...), 0): 최대 빈도수가 몇 번째 위치(행 번호)에 있는지 찾습니다.INDEX(bins_array, MATCH(...)): 해당 위치의 간격 상한값을 반환합니다.
이 조합을 활용하면 데이터가 가장 많이 집중된 핵심 구간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FREQUENCY 함수는 데이터의 분포를 한눈에 파악하게 해주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배열 수식에 익숙하지 않더라도, $\text{Ctrl} + \text{Shift} + \text{Enter}$만 기억하고 실습해 본다면 실무에서 데이터를 분석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