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셀에서 날짜와 시간 함께 계산하기: 총 소요 시간 구하기

 

엑셀에서 날짜와 시간 함께 계산하기: 총 소요 시간 구하기

엑셀에서 날짜와 시간 함께 계산하기: 총 소요 시간 구하기 

안녕하세요! 효율적인 데이터 관리를 돕는 블로그, 엑셀 마스터입니다.

오늘은 엑셀에서 날짜(Date)와 시간(Time)을 함께 포함하는 데이터를 다룰 때, 총 소요 시간을 정확하게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프로젝트 기간, 업무 수행 시간, 또는 기계 가동 시간 등을 계산할 때 매우 유용하며, 결과 셀의 서식을 설정하는 핵심 팁까지 놓치지 마세요!

 엑셀에서 날짜와 시간이 작동하는 원리

엑셀은 사실 날짜도 숫자로 저장한다는 것을 알고 계셨나요? 1900년 1월 1일을 정수 1로 시작하여, 날짜가 하루 지날 때마다 1씩 증가하는 방식으로 날짜를 인식합니다.

  • 날짜: 정수 부분 (예: 2023년 10월 26일은 '45224'와 같은 정수)

  • 시간: 소수 부분 (예: 오전 9시는 0.375 (9/24)와 같은 소수)

따라서 날짜와 시간이 함께 입력된 셀은 정수와 소수가 합쳐진 하나의 숫자로 인식되어, 일반적인 숫자처럼 더하고 뺄 수 있게 됩니다. 이 원리 덕분에 시작 시점과 종료 시점의 차이를 계산하여 정확한 총 소요 시간을 구할 수 있습니다.


 실습 예제: 프로젝트 총 작업 시간 계산하기

아래 예제 표를 보면서 총 소요 시간을 계산해 보겠습니다.

구분시작 일시 (A열)종료 일시 (B열)총 소요 시간 (C열)
프로젝트 A2023-10-26 09:002023-10-27 18:00=B2-A2
작업 B2023-11-01 23:002023-11-03 04:00=B3-A3

1단계: 간단한 뺄셈 수식 입력

총 소요 시간을 계산할 C2 셀에 다음 수식을 입력합니다.

이 수식을 입력하고 $\text{Enter}$를 누르면, 엑셀은 두 날짜-시간 값의 숫자 차이를 계산합니다. 이 차이 값은 총 소요 시간(일과 시간)을 의미합니다.

2단계: 결과 셀 서식 설정 (가장 중요!)

수식을 입력한 후 C2 셀의 초기 표시 결과가 원하는 형태가 아닐 수 있습니다. (예: 1.375 또는 1900-01-01 09:00)

계산된 총 소요 시간을 "일"과 "시간"이 포함된 형태"총 시간" 형태로 명확하게 표시하려면, 결과 셀의 서식을 반드시 변경해야 합니다.

  1. 총 소요 시간이 계산된 $\text{C}$열 전체를 선택합니다.

  2. 마우스 오른쪽 버튼 클릭 후 [셀 서식]을 선택하거나 ().

  3. [표시 형식] 탭에서 [사용자 지정]을 선택합니다.

  4. 아래의 두 가지 유용한 서식 중 하나를 [형식(T)] 입력란에 직접 입력합니다.

 옵션 1: 일, 시간, 분 모두 표시하는 서식

날짜(d), 시간(h), 분(m)을 명확하게 구분하여 표시하고 싶을 때 사용합니다.

입력 형식표시 결과 (프로젝트 A의 경우)의미
d"일" hh:mm1일 09:001일 9시간 0분 소요

 옵션 2: 24시간을 초과하는 '총 시간' 표시 서식

총 작업 시간이 24시간을 넘어설 때, 누적된 총 시간을 계산하고 싶을 때 사용합니다. 대다수 업무 보고 시 유용합니다.

입력 형식표시 결과 (프로젝트 A의 경우)의미
[h]:mm33:00총 33시간 0분 소요

핵심! 대괄호 $\text{[ ]}$를 시간 $\text{h}$에 적용하면, 24시간을 초과하더라도 시간을 누적하여 표시해 줍니다. (예: 25:00, 33:00)


  • 메인 키워드: 엑셀 날짜 시간 계산, 엑셀 총 소요 시간

  • 서브 키워드: 엑셀 날짜 빼기 시간, 엑셀 셀 서식 [h]:mm, 엑셀 날짜 차이 계산, 엑셀 시간 누적

이 방법을 활용하여 복잡했던 프로젝트나 업무의 총 소요 시간을 엑셀로 정확하게 계산하고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해보세요!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지 댓글로 질문해 주세요.


댓글 쓰기

0 댓글

이 블로그 검색

태그

이미지alt태그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