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셀 날짜 함수 완벽 정리: 실무 예제와 함께 배우는 필수 기능
엑셀은 다양한 데이터를 다루는 데 필수적인 도구입니다. 그중에서도 날짜와 시간을 다루는 함수는 일정 관리, 근태 계산, 프로젝트 기간 산정 등 실무에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엑셀 날짜 함수들의 종류와 함께 실무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예제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1. 자주 사용되는 필수 날짜 함수 모음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자주 사용되는 날짜 함수들을 알아볼까요? 이 함수들만 잘 활용해도 대부분의 날짜 관련 작업을 손쉽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TODAY(): 현재 날짜를 표시하는 함수입니다. 괄호 안에 아무것도 넣지 않습니다.
예시:
TODAY()→2025-09-25(오늘 날짜가 자동으로 표시됩니다.)
NOW(): 현재 날짜와 시간을 동시에 표시하는 함수입니다.
예시:
NOW()→2025-09-25 20:30(현재 날짜와 시간이 표시됩니다.)
DATE(연, 월, 일): 연, 월, 일을 입력하여 날짜를 만드는 함수입니다.
예시:
DATE(2025, 9, 25)→2025-09-25
YEAR(날짜), MONTH(날짜), DAY(날짜): 날짜에서 연, 월, 일을 각각 추출하는 함수입니다.
예시:
YEAR("2025-09-25")→2025
WEEKDAY(날짜, [반환 유형]): 특정 날짜의 요일을 숫자로 반환하는 함수입니다. 반환 유형을 지정하여 일요일을 1로 할지, 월요일을 1로 할지 등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예시:
WEEKDAY("2025-09-25", 1)→5(2025년 9월 25일은 목요일이며, 일요일(1)부터 시작하면 다섯 번째 날입니다.)
DAYS(종료 날짜, 시작 날짜): 두 날짜 사이의 일수를 계산하는 함수입니다.
예시:
DAYS("2025-10-01", "2025-09-25")→6
2. 실무에서 바로 써먹는 엑셀 날짜 함수 예제
이제 위 함수들을 조합하여 실생활과 업무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예제들을 살펴봅시다.
예제 1: 근속 연수 및 개월 수 계산하기
직원의 입사일자를 기준으로 현재까지의 근속 연수와 개월 수를 계산하는 것은 인사 관리에서 자주 쓰이는 작업입니다. 이럴 때는 DATEDIF 함수를 사용하면 매우 편리합니다. DATEDIF 함수는 숨겨진 함수로, 자동 완성 기능이 제공되지 않으므로 직접 입력해야 합니다.
함수 형식:
DATEDIF(시작 날짜, 종료 날짜, "단위")단위 종류:
"Y": 연도 (Years)"M": 개월 (Months)"D": 일 (Days)"YM": 연도를 제외한 개월 수"YD": 연도를 제외한 일수"MD": 연도와 개월을 제외한 일수
결과: 홍길동의 근속 연수와 근속 개월 수가 정확히 계산됩니다.
예제 2: 특정 날짜에서 영업일만 계산하기
프로젝트 일정이나 배송일을 계산할 때 주말이나 공휴일을 제외한 영업일만 계산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때는 WORKDAY 함수와 NETWORKDAYS 함수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WORKDAY(시작 날짜, 계산할 일수, [휴일]): 시작 날짜로부터 계산할 일수만큼 떨어진 영업일(주말 제외)을 계산합니다. 공휴일은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NETWORKDAYS(시작 날짜, 종료 날짜, [휴일]): 두 날짜 사이에 포함된 영업일 수를 계산합니다.
결과: 2025-10-09 (9월 25일부터 10일 후의 영업일을 계산한 결과입니다. 주말이 제외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제 3: 날짜에서 요일명 추출하기
날짜만 보고 요일을 파악하기 어려울 때가 있습니다. 날짜에서 요일 이름을 텍스트로 추출하려면 TEXT 함수를 사용합니다.
TEXT(날짜, "표시 형식"): 날짜를 지정한 형식의 텍스트로 변환합니다.
"aaaa": 요일 전체 이름 (예: 목요일)"aaa": 요일 약어 (예: 목)
결과: 목요일
3. 날짜 함수 사용 시 유의할 점
날짜는 숫자다: 엑셀에서 날짜는 1900년 1월 1일이
1인 일련번호로 저장됩니다. 즉,2025-09-25는 1900년 1월 1일로부터 며칠이 지났는지 계산된 값입니다. 이 원리를 이해하면 날짜끼리의 덧셈, 뺄셈이 왜 가능한지 알 수 있습니다.텍스트 형식 날짜의 오류:
2025.09.25와 같이.으로 구분된 날짜는 엑셀이 날짜로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가급적2025-09-25형식으로 입력하는 것이 오류를 줄일 수 있습니다.
엑셀 날짜 함수는 단순한 날짜 계산을 넘어 데이터 분석과 보고서 작성에 큰 도움이 됩니다. 위 예제들을 참고하여 여러분의 엑셀 작업 효율을 높여보세요!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