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셀 숫자 데이터 단위 표시, 텍스트 합치는 방법, &, CONCATENATE, TEXT, 셀서식

엑셀 숫자 데이터 단위 표시, 텍스트 합치는 방법

엑셀을 사용하다 보면 여러 셀의 내용을 합치거나, 숫자 데이터에 '원', '명'과 같은 단위를 추가해야 할 때가 많습니다. 엑셀 초보자도 쉽게 따라 할 수 있는 텍스트 합치기숫자 단위 추가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1. 텍스트 합치기: & (앰퍼샌드)와 CONCATENATE 함수 활용

여러 셀에 나뉘어 입력된 텍스트를 하나의 셀로 합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가 있습니다.

방법 1: & (앰퍼샌드) 연산자

가장 간단하고 직관적인 방법입니다. 합치려는 셀 사이에 & 기호를 넣어주기만 하면 됩니다.

  • 예시: A1셀에 '김', B1셀에 '민수'가 있다고 가정해 봅시다.

    • =A1&B1 이라고 입력하면 '김민수'가 됩니다.

    • 중간에 쉼표, 공백 등의 구분자를 넣고 싶다면, 큰따옴표( " )로 묶어주세요.

    • =A1&" "&B1 이라고 입력하면 '김 민수'가 됩니다.

    • =A1&", "&B1 이라고 입력하면 '김, 민수'가 됩니다.

장점: 사용법이 매우 간단하고 직관적입니다.

방법 2: CONCATENATE 함수

여러 텍스트 항목을 하나로 결합해 주는 함수입니다.

  • 구문: =CONCATENATE(text1, [text2], ...)

  • 예시: 마찬가지로 A1셀에 '김', B1셀에 '민수'가 있다고 가정해 봅시다.

    • =CONCATENATE(A1, B1) 이라고 입력하면 '김민수'가 됩니다.

    • 구분자를 넣고 싶다면, 마찬가지로 큰따옴표를 사용합니다.

    • =CONCATENATE(A1, " ", B1) 이라고 입력하면 '김 민수'가 됩니다.

장점: 여러 개의 셀을 합칠 때, 앰퍼샌드 연산자보다 수식이 더 깔끔하게 보일 수 있습니다.


2. 숫자만 있는 셀에 단위 추가하기 (표시 형식 및 TEXT 함수 활용)

숫자 데이터에 '원'이나 '명'과 같은 단위를 붙이면 시각적으로 데이터를 이해하기 더 쉽습니다. 이때, 실제 셀 값은 숫자 그대로 유지하면서 표시 형식만 변경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표시 형식을 이용하면 SUM이나 AVERAGE 같은 함수를 사용할 때 오류가 발생하지 않고 계산이 가능합니다.

방법 1: 사용자 지정 표시 형식 (계산 가능)

셀의 실제 값은 숫자 그대로 두고, 화면에 보이는 모양만 변경합니다. 따라서 계산이 가능합니다.

  1. 단위를 추가하려는 셀을 선택합니다.

  2.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고 '셀 서식'을 선택합니다. (단축키: Ctrl + 1)

  3. 셀 서식 창에서 '표시 형식' 탭으로 이동합니다.

  4. 왼쪽 목록에서 '사용자 지정'을 선택합니다.

  5. 오른쪽 '형식(T)' 입력란에 #,##0"명" 과 같이 입력합니다.

    • 설명: #,##0은 천 단위마다 쉼표를 넣고, 0을 0으로 표시하라는 의미입니다. 그 뒤에 큰따옴표로 묶은 "명"을 붙여줍니다.

장점: 셀의 값이 숫자 데이터로 유지되어 사칙연산, 합계 등 계산이 가능합니다.


방법 2: TEXT 함수 (계산 불가능)

TEXT 함수는 숫자 값을 지정된 서식으로 변환하여 텍스트로 반환합니다. 이 방법은 숫자 값을 텍스트로 바꾸기 때문에 계산이 불가능합니다. 그러나 수식으로 한 번에 적용할 수 있어 편리합니다.

  • 구문: =TEXT(value, format_text) & "단위"

  • 예시: A1셀에 1000이 있다고 가정해 봅시다.

    • =TEXT(A1,"#,##0") & "명" 이라고 입력하면 '1,000명'이 됩니다.

    • 설명: TEXT(A1,"#,##0")A1 셀의 숫자 1000을 '1,000'이라는 텍스트로 변환합니다. 그 뒤에 & "명"을 붙여 '1,000명' 이라는 최종 텍스트를 완성합니다.

단점: 반환된 값은 텍스트이므로, 이 셀을 이용하여 SUM이나 AVERAGE 같은 함수를 사용할 경우 오류가 발생합니다.


정리하며: 표시 형식과 TEXT 함수의 차이점

엑셀에서 숫자 단위 추가 시 어떤 방법을 사용해야 할까요?

구분사용자 지정 표시 형식TEXT 함수
셀 값숫자로 유지텍스트로 변환
계산 가능 여부가능불가능
사용 방법셀 서식 창에서 설정함수 수식으로 입력

결론적으로, 계산이 필요한 숫자 데이터에 단위를 붙일 때는 사용자 지정 표시 형식을 사용해야 하고, 단순하게 보고서나 양식에 텍스트 형태로 표시해야 할 경우에는 TEXT 함수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 팁들을 잘 활용하셔서 엑셀 작업을 더욱 효율적으로 관리하시길 바랍니다!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지 댓글로 남겨주세요. 

댓글 쓰기

0 댓글

이 블로그 검색

태그

이미지alt태그 입력